백련 3

가없다 라는 말이 어울리는 무안회산백련지를 돌아 보고 연희네뻘낙지전문점에서 연포탕을 점심으로..

무안 회산백련지는 연꽃도 보기에 좋지만 이 시계 구조물 있는 곳이 인기가 많아 뵈더랍니다 주황색 맨드라미와 조화를 물 구조물이 이루던 작은 배들이 떠 있는 이곳에서 유난히 사진들을 많이 담더라구요 넓다란 연지 사이로 잘 놓여진 산책로를 따라 걷다 보면 일상 잡다한 생각들이 홀연히 사라질 정도 통로 끄트머리에 익살맞은 포즈를 하고 있는 개구리모형 관람객들 인증샷으로 인기만점 전망대 위에서 회산백련지 연꽃을 볼 수 있어요 단체복을 입고 오신 아저씨들이 전망대 한가득.. 가없다 라는 말이 이 곳 화산백련지에 딱 입니다 넓어도 너무 넓으니요 드넓은 연지에 작은 둠벙이 자리하고 앞쪽으로 근위병처럼 섯는 나무들이 늠름하고 멋스럽더라는.. 연일 비가 내린 탓인지 예쁘게 피었는 연꽃 찾기가 쉽지 않네요 은연중 눈에 들..

여행중에 .. 2023.07.17

부여 궁남지.. 연꽃축제 앞서 미리 다녀온..

궁남지는 신라 선화공주와 결혼한 무왕의 서동요 전설이 깃든 곳이다 삼국사기에 백제무왕 35년(634) 궁의 남쪽에 못을 파 20여 리 밖에서 물을 끌어다가 채우고 주위에 버드나무를 심었으며 못 가운데는 섬을 만들었는데 방장선산(方丈仙山)을 상징한 것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로보아 이 연뭇은 백제 무왕 때 만든 궁의 정원이었음을 알 수 있다 연못의 동쪽 언덕에서 백제 때의 기단석과 초석 기와조각 그릇조각 등이 출토되어 근처에 이궁(離宮)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못 가운데 섬을 만들어 신선사상을 표현한 궁남지는 우리나라 최고의 인공정원으로 백제의 노자공은 일본에 건너가 백제의 정원 조경기술을 전해주었다고도 한다 백제가 삼국 중에서도 정원을 꾸미는 기술이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 -궁남지 홈피에서 퍼옴- 백련지 ..

여행중에 .. 2023.07.05

경남 산청 아름다운 절 수선사를 둘러보며

수선사(修禪寺)는 경남산청군 산청읍 내리 지리산 동남쪽 마지막 봉우리 웅석봉 기슭에 위치함 창건이 오래 되지는 않았고 깊은 산중에 있는 절은 아니지만 수려한 주변 풍광과 잣나무 소나무가 많고 수선사 경내 도량이 잘 꾸며져 있어 전국적으로 손에 꼽을만큼 아름다운 사찰로 입소문을 타며 많은 방문객들이 찾아 드는 듯.. 수선사 절 입구에 들어서면서 마주 하게되는 아름다운 연못.. 나무를 소재로 써서 그런지 친근미가 있고 편안해 보이더라는 시절인연 불교의 업설과 인과응보설에 의한 것으로 사물은 인과의 법칙에 의해 특정한 시간과 공간의 환경이 조성되어야 일어난다는 뜻이다 중국 명말 항주 운서산에 기거한 승려 운서주굉(雲捿株宏:1535~1615)이 조사법어를 모아 편찬한 선관책진(禪闗策進)에 시절인연이 도래(到來)..

여행중에 .. 2023.06.02